마조스톤 계정이 열려서 계이합니다
@meoru@madost.one
#툿친소 겸 메인툿
기존에는 다 아는얼굴이어서 대충 적어도 됐는데 이제는 새로 보이시는 분들이 많아서 새로 쓰는 툿친소..
논바이너리 젠더플루이드
& 팬섹슈얼
이에요. 장르는 보컬로이드, 프로세카 파고 있어요!
지금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살고있어서 시간대는 UTC-7/-8 입니다! 탐둬하시면 아마 재밌을 거에요!
#툿친소
여러분들 저 누군지 아시죠? 여기 연합우주에서 가장 순수하고 지적이며 재밌는 사람입니다 지금 툿친하십시오!
마조스톤 계정이 열려서 계이합니다
@meoru@madost.one
애플, 2분기 실적 공식 발표
팀 쿡(Tim Cook): 2분기에 기록적인 아이폰 업그레이드 수와, 안드로이드에서의 아이폰 전환률 '두 자릿수' 성장
애플 서비스 가입자는 25% 증가하여 8억 2,500만 명으로 최고 기록 달성
애플 3월 분기 실적 분석:
CNBC 와의 인터뷰 에서 Cook은 iPhone 13 주기가 Apple에 "분명히 강한 주기"로 입증되었다고 말했습니다. iPhone 매출은 1년 전 같은 분기의 478억 8000만 달러에서 2022년 2분기 505억 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습니다.
CNBC 는 다음과 같이 보고합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아이폰 사업이 '스위처', 즉 이전에 안드로이드 폰을 가지고 있었지만 아이폰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사람들과 함께 성공적인 분기를 보…
via: https://clien.net/service/board/news/17216870?od=T31&po=0&category=0&groupCd=
지금 이야기되고 있는 PC문제도 그렇지만 최근 와서 사회적 이슈가 되는 많은 개념들이 언어가 그걸 받아들일 틈을 주지 않고 쏟아져 나와서 그런거 같기도 함.
애초에 차용할 단어가 없는 상태에서 새로운 개념이 발생해서 말이 그냥 만들어지면 그 집단이 가장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형태로 자리잡게 되니 문제가 없는데, 인터넷이다 뭐다 해서 세계 어디서 무슨 일이 일어나든 전달되는것도 빠른데다 생소한 개념이 있는 경우, 그 자연스럽게 말이 자리잡는 배경과 과정을 무시하고 그냥 외래어를 바로 가져와서 쓰거나 어설프게 번역하기 때문에 인식 차이 같은 문제를 더 심화시키고 있다고 생각.
그렇다고 개념이 자리잡을때까지 느긋하게 기다릴 수 있는 세상도 아니니 처음 단어를 가지고 올 때 좀 신중해야 하는데 그 부분이 특히 한국에서는 많이 부족한거 같다.
PC주의에 대한 오해
한국에서 제기되는 PC주의에 대한 비판의 99%는 이런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완전히 빼먹고 있어서 사실 한국에서 PC라는 개념이 왜곡되어 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음. 영화에 자꾸 흑인캐릭터 등장시키지 마라 PC충들아! <- 이런 비판을 하는것도 사실 굉장히 어이없고 (다음에 다루겠습니다) 영화나 미디어에 어떤 정체성의 사람이 등장하는지와 PC주의는 그다지 관련이 없습니다...
+) 간혹 미국인들의 nn%도 PC주의가 피곤하다는 답변을 달았다 같은 통계 가져오면서 미국에서도 사장되는거 아니냐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도 계신데, 아니 예의 지키는거 피곤하죠 안피곤합니까? 그런데 피곤하다고 안지키면 사회 유지가 안되잖아요.. 미국같이 인종/민족구성 다양한 나라는 정말 사소한 분쟁으로도 화약고가 터질 수 있습니다. 미국의 역사가 증명하고, 다른 세계의 역사도 증명합니다 (유고슬라비아를 보세요)
PC주의에 대한 오해
Political Correction이 언제부터 소수자 캐릭터를 많이 등장시키는거라는 뜻으로 쓰인건지는 모르겠는데 유독 한국에서만 그렇게 받아들여지는것 같아 이상하다. PC는 미국 민권운동기에 정립된 개념이고, 그때 이념적으로 정립이 됐다 뿐이지 사실 미국에서 그 이전부터 암묵적으로 존재해 오던 일종의 미국판 "예의범절"입니다. 예의범절이 뭘까요? 사회의 분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암묵적인 사회적 문화적 합의입니다. 미국은 태생부터 다양한 인종적 민족적 구성으로 인해 크고 작은 분쟁이 있어왔고 (이걸로 내전까지 했대요!) 그런 분쟁 끝에 사회구성원들이 "우리 다른 인종/민족에게 민감할만한 소재나 말은 꺼내지 말자"라는 암묵적 합의를 도출한겁니다. 이게 1960년대 민권운동 이후로 Political Correction이라는 개념으로 정의된겁니다.
오래 쓴 분들은 아실지도 모르겠는데 옛날 옛적에는 라프텔 플레이어 한 쪽에 캡처 버튼이 있어서 누르면 원본 화질 그대로 스크린샷을 찍어줬단 말이에요? 근데 왜 없어졌는지 (금방 추측할 수 있을 법한 이유로) 사라짐..
마조스톤 계정이 열려서 계이합니다
@meoru@madost.one
미국🇺🇸 서부 사는 인간 | 프사: @mooonstone